본문으로 바로가기
인싸이트. Insight of psychology, INPSYT
인싸이트는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의 새 이름입니다.
[학교폭력 상담시리즈] 대응 모델의 특징
등록일 : 2016-02-05


학교폭력에 대응하는 여러가지 모델들이 있습니다.
각 모델들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대응 모델의 특징

 

1) 학교평화 모델(Peace-school model)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학부모와 교사 등 폭력의 대응 주체가 어떤 심리적 변화를 겪게 되는지 이해하고, 시간에 따라 발전하는 폭력사건의 양상에 따라 정확한 개입이 이루어지면 악순환되는 폭력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

학교폭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폭력사건 관련 제반 당사자의 관점을 탐색하고 변화 과정을 관찰하며 적절한 개입 방법을 임상적으로 검증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관점을 가져야 한다.

첫 번째, 관련 당사자(피해학생, 피해학생 부모, 가해학생, 가해학생 부모, 교사, 학교,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심리적 현상과 변화 양상을 알고 이해하는 일이다.

두 번째, 학교 폭력 사건을 다루는 관점 혹은 시점에 따른 개입 전략을 이해하는 일이다. 시간적 측면에서 사전단계-초기단계-중기 단계-법적 분쟁 단계-종결 단계로 구분된다.

 

[학교폭력 대응 주체별 심리 반응]

구분

효과적 개입(성장)

비효과적 개입(악화)

인식 단계

공감적 인식

판단적 인식

초기 개입단계

해결 의지

회피 반응

중재 단계

공론화

무마 반응

학습 단계

대안 행동학습

폭력 수용

실행 단계

진정성

과장 반응

잠복 단계

신 가치 창출

후유증

 

 

[피해학생의 효과적/비효과적인 대처행동]

단계

효과적 개입(성장)

비효과적 개입(악화)

인식 단계

(판단적 인식 대 공감적 인식)

1. 능동적인 행동 표현

소리치며 도움을 요청한다.

- ! 왜그래? 때리지마.

- 누가 나좀 도와줘!

자리를 피한다.

1. 두려움으로 인한 경직

움츠려 들고 위축된다.

애들이 무섭다.

아무것도 하기싫다.

학교 가기 싫다.

초기 개입 단계

(회피 반응 대 해결 의지)

2. 부정적 감정표현하기

아프잖아.

장난 아니거든! 그만해

나 기분 엄청 나쁘거든

2. 표현하지 못하는 분노

분노가 속에서 끌어올라 자신을 확대한다.

- 공격적 인터넷 게임에 몰두

복통, 두통을 호소한다.

두려움 때문에 밤에 헛소리를 한다.

중재 단계

(무마 반응 대 해결 의지)

3. 개방하기

주변 친구에게 이야기한다.

교사에게 털어놓는다.

3. 폭발하기

가족에게 화풀이한다.

애완견, 약한 친구를 괴롭힌다.

학습 단계

(폭력 수용 대 대안 행동 학습)

4. 자존감 유지

정당하게 맞설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말로 하자. 나는 맞을 이유가 없어!

- 내게 함부로 행동하는건 용납 못해

가해학생에게 사과를 요구한다.

4. 자존감 상실

내가 그렇지 뭐. 내가 문제야.

그 아이가 그럴 만했어.

내가 당하는 건 당연해.

실행단계

(과장 반응 대 진정성)

5. 문제 해결 능력 향상

내 행동이 문제가 아니다. 괴롭히는 행동이 문제다.

내가 원하는 바를 부모나 교사에게 이야기 한다.

5. 피해의식 일반화

사람들은 다 폭력적이야.

저 애도 나를 괴롭히겠지.

사람을 믿는 게 어렵다.

잠복 단계

(후유증 대신 가치 창출)

6. 성장 동력 회복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없다.

나는 다른 사람도 도와줄 수 있다.

6. 절망감

난 할 수 있는게 하나도 없어.

날 도와줄 사람은 아무도 없어

 

 

 

자세한 내용은 출처도서를 참고해주세요.

조정실 외.2012.학교폭력상담 04 교사학부모 편.학지사

https://inpsyt.co.kr/psy/book/view/2281


인싸이트. Insight of psychology, INPSYT 인싸이트. Insight of psychology, INPSYT